본문 바로가기
알쓸신잡

[청년 우대형 청년 통장] 올해 마지막! 신청기간 및 방법은?

by ↗ª♨▒® 2021. 7. 28.
반응형

몇 년전부터 "내집 마련"이라는 키워드가 꾸준히 올라오면서 직장인들은 현타를 맞고 있습니다. (요즘 제대로 맞는 1인) 오늘은 우연히 "청년 우대형 청년 통장" 관련 기사를 보게 되었는데요. 내 집 마련이 갈수록 어려워진 시기에 ㅠㅠ 해당되시는 분들 기간 놓치지 마시고 필히 신청하시기 바랍니다. 

 

a1

 

[청년 우대형 청년 통장이 뭐야?]

참가자가 2년 혹은 3년 동안 매월 근로소득으로 저축하는 금액과 동일한 금액을 서울시 예산 및 시민의 후원금 등으로 적립 해주는 통장입니다. *오늘 소개해드리는 건 서울시 기준이지만 각 지역별로 관련 정책이 있을 거에요. 꼼꼼히 알아보셔서 우리가 받을 수 있는 혜택 놓치지 마세요!

 

[얼마나 모을 수 있는 걸까?]

월 10만원을 2년동안 480만원을 해당 통자에 저축하면 같은 금액인 480만원을 저축해주고, 월 15만원씩 2년동안 720만원을 저축하면 같은 금액인 720만원을 저축해줍니다. 

 

반응형

 

[지원조건]

1. 서울시 거주자로, 만 18세-만34세 청년으로, 본인 근로소득액이 월 237만원 이하여야 하고, 기존 부양의무자의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80%이하여야 합니다. 2. 적립금액(본인 적립금, 근로장려금)은 적립기간 동안 저축하고, 의무교육(금융교육 연 1회) 이수 후 사용용도가 증빙되면 약정서 제 10조 <지급액 지급기준>에 따라 차등지급됩니다.

3. 저축기간 중 본인 저축액을 연속 3회 이상 저축하지 않거나 총 7회 이상 저축하지 않는 경우, 금융교육을 연 1회 무단 불참하는 경우, 저축기간 중 타 시.도 로 거주지를 이전하는 경우 등 약정의무 위반시 중도해지 됩니다. 4. 중도해지 시 본인적립금(이자포함)만 지급 됩니다. 5. 적립기간 완료 후 5년 경과시까지 근로장려금 미신청 및 지급심사가 부결된 경우 근로장려금은 지급하지 않고 재단에서 여입처리 합니다.

 

a2

 

다들 어렵고 힘든 시기인데 이런 정책 꼭 놓치지 마시고 잘 활용하셔서 목돈도 만들고, 결과적으로 내집마련에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길 바라며 오늘 포스팅 이만 마치겠습니다.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

댓글